본문 바로가기

즐거운 세상속으로

"과거사 극복", 일제강점기 영화 쏟아진다

 

 

 

 


[스포츠조선 김표향 기자] 일제 강점기는 한국영화 제작자들에게 마지막 남아 있는 미개척지다. 시대의 비극성으로 인해 극 장르로 다뤄질 만한 사건과 인물이 많지만, 스크린에 옮겨진 사례는 많지 않다. 고증과 재현에 필수적으로 따르는 제작 인프라가 부족했고, 무엇보다 역사적 해석의 문제가 첨예해 영화화 하기 쉽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들어 '동주'와 '귀향'을 필두로 일제 강점기를 다룬 영화들이 하나둘 쏟아지고 있다. '동주'는 시인 윤동주와 독립운동가 송몽규의 삶을 조명해 100만 관객의 호평을 받았고,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실화를 그린 '귀향'은 300만을 돌파하며 우리 사회 곳곳에서 반향을 일으켰다. 두 영화는 대중의 역사 인식을 환기하며 과거사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계기를 마련하기도 했다.

 

4월에는 일제 강점기를 배경으로 삼은 또 다른 영화 '해어화'가 개봉한다. 대중가요가 일제로부터 억압 당하던 1940년대, 민중의 마음을 어루만지는 가수가 되고자 했던 마지막 기생의 이야기를 담는다.

 

박찬욱 감독의 '아가씨'는 원작 소설 '핑거스미스'에서 영국 빅토리아 시대로 설정된 시대 배경을 1930년대 조선과 일본으로 옮겨왔다. 젊은 상속녀와 그의 후견인, 상속녀의 재산을 노린 남자와 그에게 고용된 하녀를 둘러싼 파격적 이야기를 1930년대 시대상에 녹였다.

 

1920년대 독립운동단체 의열단의 이야기를 그린 김지운 감독의 '밀정'과 어린 나이에 일본으로 끌려간 덕혜옹주의 비극적 삶을 다룬 '덕혜옹주'도 한창 제작 중이다. '베테랑' 류승완 감독은 일본 하시마 섬에 강제 징용된 조선인들의 탈출기를 그린 영화 '군함도'를 6월부터 촬영한다.

 

'동주' 제작사는 시인 윤동주를 시작으로 가수 이난영, 만담가 신불출, 영화감독 김기영, 시인 백석 등 근현대 예술인 10명의 삶을 영화화 하는 연작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처럼 최근의 한국영화가 일제 강점기를 적극적으로 다루기 시작한 건, 그 시대가 영화적 탐구 대상으로서 동시대적 가치와 의미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일제 강점기는 한국사회에 내재된 역사적, 사회적 갈등의 시작점이기에, 과거를 반추하는 작업은 오늘날 한국사회를 재구성하는 작업과도 맞닿아 있다. 현재와의 맥락 속에 그려진 과거는 관객과 소통하며 공감으로 이어진다. 때문에 여러 영화 관계자들은 영화의 소재이자 주제로서 일제 강점기에 대한 관심은 더 높아질 거라 전망한다.

 

'동주'를 제작한 신연식 감독은 "일제 강점기엔 영화화 할 만한 소재와 인물이 광맥처럼 뻗어 있다"면서 "2~3년 전부터 일제 강점기를 다룬 영화들이 조만간 쏟아져 나올 것이라 예상했다"고 설명했다.

 

신 감독은 "예전에는 제작 환경 문제와 과거사 트라우마 때문에 창작자들이 일제 강점기에 섣불리 손을 대지 못했다"며 "과거사 진상규명 작업 등을 통해 우리 사회가 과거사 트라우마에서 벗어나기 시작한 시기와 맞물려 관련 영화의 제작이 활발해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일제 강점기의 경우 변변한 세트도 마련돼 있지 않아 시대 구현을 위해선 막대한 비용이 필요한데, 최근 한국영화의 예산 규모가 커진 것도 일제 강점기 영화들이 급격히 늘어난 이유 중 하나로 꼽힌다.

 

신 감독은 "최동훈 감독의 '암살'이 성공을 거두면서 영화 제작자들이 일제 강점기를 다룬 영화의 상업적 가능성을 확인하게 됐다"며 "힘 있는 감독들의 시도로 인프라가 더 갖춰진다면 앞으로 더 많은 영화가 제작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suzak@sportschosun.com
[기사/사진출처_스포츠조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