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즐거운 세상속으로/it & 디지털

잇단 '아이폰7' 발화, '배터리 게이트'로 확산? 


美·中·濠 아이폰7 폭발 사례 보고 잇따라… 결함진단시 '갤노트7' 사태 전철 밟을수도

애플의 신형 스마트폰 ‘아이폰7’의 폭발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아직 애플과 현지 소비자보호 당국이 이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못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애플이 배터리 발화로 촉발된 삼성전자 ‘갤럭시노트7’(이하 갤노트7) 사태와 같은 위기에 직면할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제기하고 있다.

◇ ‘아이폰7’도 잇단 배터리 발화= 애플 아이폰7이 국내 시장에 출시된 21일. 호주에서는 아이폰7이 외부 충격 없이 발화된 사고가 터졌다. 서핑강사 맷 존스는 차량 내부의 옷더미 속에 아이폰7을 뒀다가 차량이 불타는 사고를 당했다. 맷 존스는 화재 원인으로 아이폰7을 꼽으면서 정품 배터리를 사용했고 어떤 충격도 가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앞서 미국과 중국에서도 아이폰7 폭발 의혹이 제기된 바 있다. 지난 12일 중국 현지 매체 펑파이는 허난 성 정저우 시에 사는 한 남성의 아이폰7이 갑자기 터져 날아든 파편으로 얼굴에 상처를 입었다고 보도했다. 중국에서 제기된 첫 번째 아이폰7 배터리 폭발 민원이다. 애플 중국법인은 이 사고를 미국 본사에 보고했다.

지난달에는 미국 텍사스에서 아이폰7플러스가 배송 도중 폭발한 사고가 발생했다. 제품이 폭발한 상태로 배송받았다는 주장이다. 포장지 외부에 강한 충격을 받은 흔적이 보이면서 외부 충격에 의한 배터리 폭발로 추정됐다. 

아이폰7뿐 아니라 아이폰6, 아이폰6플러스 폭발 의심사례도 제기됐다. 미국 현지 언론에 따르면, 캘리포니아주에 사는 이벳 에스트라다씨의 아이폰6플러스가 충전 중 발화됐으며, 뉴저지주 소재 대학에서 학생 가방에 들어있던 아이폰6플러스가 발화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 리콜 가능성은= 아이폰 배터리 발화 사고가 잇따르면서 애플 역시 ‘갤노트7’ 단종사태로 위기를 맞고 있는 삼성전자의 전철을 밟게 될 수 있다는 관측도 일각에서 제기한다. 애플이 자체 조사에 착수한 만큼 상황을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제조사 혹은 각국 정부의 리콜조치는 제품 결함 혹은 소비자 안전과 직결된 문제가 발생했을 때 시행된다. 다만 100% 완벽한 상품이 없기 때문에 제조 과정상의 실수 등으로 발생한 특정 불량품에 대해서는 개별AS로 처리하는 게 통상적 관례다. 휴대폰에 탑재되는 리튬이온배터리는 열과 외부 충격 등에 민감한 화학제품이다. 어느 휴대폰 제조사를 막론하고 휴대폰 발화사고가 종종 발생해왔던 이유이기도 하다. 때문에 배터리 발화 사례가 보고됐다고 해서 원인 규명 없이 무조건 리콜로 이어지진 않는다.

그럼에도 삼성전자가 배터리 ‘갤노트7’ 배터리 발화 이후 한차례 리콜조치와 제품단종을 결정했던 건 통상적인 제품 불량 수준을 넘어섰다고 판단했기 때문. 출시 후 단종 결정 때까지 전세계적으로 100건이 넘는 민원사례가 접수됐다. 아이폰7 발화 사가 알려진 건 아직 3건에 불과하다. 전자제품 안전 인증기관인UL에 따르면, 보통 리튬이온배터리는 1000만대 중 1대꼴로 불량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애플 아이폰의 연간 판매량이 2억대 규모라는 점을 감안하면 제품 결함으로 진단하기에는 이르다.

다만 언론에 보도되지 않았지만 피해사례가 훨씬 많을 수 있다는 점과 배터리 발화가 소비자 안전에 직결된 사안이라는 점에서 규제 당국의 선제 대응조치도 나올 수 있다. 미국 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CPSC)도 갤노트7 발화 사태를 계기로 시중 유통 중인 리튬이온배터리 전반에 대한 안전성 조사에 들어갈 예정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갤럭시노트7 사태 이후 배터리 발화 이슈에 대해서만큼 소비자들이 극도로 민감할 수 밖에 없다”며 “배터리 발화 이슈로 대규모 전량 제품 회수 리콜조치와 제품단종조치를 취했던 삼성의 전례가 있는 만큼 애플이 과거처럼 유야무야 넘길 수 있는 사안은 아닐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이날 국내 이통 3사는 ‘아이폰7’ 판매에 일제히 돌입했다. ‘갤노트7’ 단종으로 마땅한 경쟁제품이 없는 상황에서 예약판매량이 1년 전 아이폰6S 판매량의 2배에 근접하는 등 반사이익을 톡톡히 보고 있다.


서진욱 기자 sjw@mt.co.kr
[기사출처_머니투데이]